개발/js

JavaScript 에서 == 와 ===의 차이점

이쪽저쪽살짝 2023. 4. 7. 20:19
반응형

1. == (동등 비교 연산자, loose equality):
== 연산자는 두 피연산자의 값이 같은지 확인합니다. 이때 타입 변환을 허용하여 서로 다른 타입의 피연산자도 동등하게 간주될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문자열 '5'와 숫자 5는 == 연산자로 비교하면 같다고 간주됩니다.
예시:

'5' == 5; // true

2. === (일치 비교 연산자, strict equality):
=== 연산자는 두 피연산자의 값과 타입이 모두 같은지 확인합니다. 이 경우 타입 변환을 허용하지 않으므로, 서로 다른 타입의 피연산자는 일치하지 않다고 판단됩니다. 예를 들어, 문자열 '5'와 숫자 5는 === 연산자로 비교하면 같지 않다고 간주됩니다.
예시:

'5' === 5; // false

JavaScript에서 비교를 수행할 때는 일반적으로 === (일치 비교 연산자)를 사용하는 것이 좋습니다. 이렇게 하면 예기치 않은 타입 변환으로 인한 문제를 방지할 수 있습니다. 물론, 의도적으로 타입 변환을 허용하려는 경우에는 == (동등 비교 연산자)를 사용할 수 있습니다.

반응형